본문 바로가기

지식/전공관련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1)

2008/07/07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2)
2010/03/09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3)
2008/12/12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번외(1)
2009/01/04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번외(2)
2010/06/23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번외(3)
2011/12/07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번외(4) 
2010/05/18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면 (1)
2010/11/10 - [지식/전공관련] - 전문연구요원이 되면 (2)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위하여 (1)

전문연구요원이란?



먼저 제 소개를 하자면, 지난 2008년 2월에 있었던 2008 전기 전문연구요원 편입시험에 합격해
현재 전문연구요원에 편입되어있는 박사과정의 학생입니다.

제가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하면서 느꼈던 점은,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소위 잘나가는 대학교들에 비해 학교 내에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하는 분들도 턱없이 부족해
학교 내에서 정보를 얻기도 힘들었고, 인터넷상에서도 제대로 된 정보를 찾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석사과정으로 들어오신 분들중에도 전문연구요원이라는 제도가 있는지조차 몰랐던 분들도 참 많습니다.

제 블로그의 유입 키워드를 보면 전문연구요원에 관련된 키워드로 들어오시는 분들도 몇년간 꾸준히 있어왔으며,
학교에서도 몇몇 분들이 어떻게 알았는지 전문연에 대한 질문을 하곤 했습니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면서 저와 같은 답답함을 느끼는 분들이 굉장히 많을 것이라 생각했고,
이에, 전문연구요원 편입에 성공하고 나면 제가 습득한 가능한 모든 정보를 많은 분들에게
나누고자 결심하였습니다.

합격 발표가 난지도 어느새 한달이 넘게 지났네요.
글을 쓰는 시점도 많이 늦어졌고,
연재가 얼마의 주기로 반복될 것인지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다만, 연재를 중단하는 일 없이 끝까지 글을 써서 많은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하니,
전문연구요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끝까지 지켜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에 앞서, 분명히 밝히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전문연구요원을 군대를 안가기 위한 편법과 같은 것으로 치부하고 욕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러나, 전문연구요원이라는 길은 결코 그런 생각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길도 아니며,
그러한 제도도 아닙니다. 전문연구요원은 국가에서 나라의 발전을 위하여 설립한 제도이며,
매년 전문연구요원의 TO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그만큼 전문연구요원이라는 제도가
나라에 필요한 제도라는 반증이 될 것입니다.

제가 작성하는 이 글이 군대를 가지 않기 위한 요령과 같은 글로 치부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1. 전문연구요원이란?

먼저, 전문연구요원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의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병역법에서 병역 이행 구분이 현역 - 보충역 - 제2국민역 - 면제 의 4가지로 구분되는 것은
군 적령기 이상의 남성이라면 모두가 주지하고 있는 사실일 것입니다.
http://www.mma.go.kr/www_mma3/execution_2_3.jsp
각 구분에 따른 차이점은 위 병무청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현역판정을 받은 사람이 합법적으로 대체 군복무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http://www.mma.go.kr/www_mma3/execution_8_1.jsp
자세한 내용은 위 주소를 참조해 주십시오.
그 중에서도 전,의경, 의무소방수 등의 경우를 제외하면
크게 산업기능요원전문연구요원을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산업기능요원은 위 병무청 홈페이지에 나와있듯이 현역 대상의 대체복무 TO를 계속 줄여나가
2012년에는 전면 폐지될 예정이며, 전문연구요원은 지속적으로 시행할 예정으로 나와 있습니다.
산업기능요원은 일손이 부족한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면서 군 복무를 대체하는 제도입니다.

전문연구요원제도는 이공계 석사, 박사 등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연구개발인력 지원을 위한 제도로서
국가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국가산업을 육성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http://iljari.mma.go.kr/ 에서 발췌)

전문연구요원제도는 이공계 및 기초의학분야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시행 내용은
석사과정을 마친 후, 병무청에서 지정한 연구업체에 취업을 하여 연구활동에 종사하는 방법과
(연구직 외의 활동 불가)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대학교 연구소에서 연구활동에 종사하는 방법. 2가지가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 연재에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간단히 설명하면

석사를 마치고 연구업체에 취업을 하는 경우는.
병무청에서 업체에 매년 전문연구요원 TO를 할당하며,
각 업체들은 이 TO만큼의 전문연구요원을 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문연구요원의 복무기간은 3년입니다.

한편, 박사과정을 수학하며 전문연구요원 복무를 하는 경우는,
박사 수료 전까지 국가에서 시행하는 전문연구요원 편입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시험에 합격하면 박사 수료 후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정한 Coursework을 모두 끝낸 시점)부터
3년간의 복무를 하게 됩니다.

그 외 4주의 기초군사훈련을 이수해야 하며, 전문연구요원 복무 후 예비군, 민방위 등의 활동은
현역병과 동일하게 수행합니다.



2. 전문연구요원. 추천? 비추?

빠르게는 중,고등학생부터, 대학교에 진학하여 군복무를 아직 이행하지 않은 학생 등이
이러한 제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전문연구요원이라는 제도는 과연 추천할 만한 제도일까요?

제 대답은 "No!" 입니다.

전문연구요원이라는 제도는 결코 군복무 대체를 위한 목적으로 선택해서는 안됩니다.
정말 이공계의 공부가 본인의 적성에 맞고, 더 깊은 공부를 하고자 하여 대학원에 진학할 의지가 있는
학생이 그에 대한 국가의 지원으로서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제도로서 활용되어야 합니다.

이는 결코 군대체복무의 부정성과 같은 사회규범, 윤리적인 문제때문에 하는 소리가 아니며,
실제 이 과정을 걸어온 사람으로서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진정으로 드리는 충고입니다.
'난 정말 군대 가기 싫은데. 전문연구요원 어떻게 하는거지?' 라는 생각으로 이 글을 읽어오신 분이라면,
지금이라도 관심을 끊고 더 늦기 전에 군복무를 마치십시오.
개인적으로 저에게 전문연구요원에 대해 물어온 분들에게 한결같이 해왔던 대답입니다.

전문연구요원이라는 길을 선택하고, 그 길을 나아갈 수록 부담은 점점 더 커지게 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군대를 가는 사람들은 대학교 1,2학년 늦는 사람은 3학년 정도를 마치고 군대를 가지요.
전문연구요원을 선택하고 시간이 지나 군대를 갈 적정 시기를 놓치게 되면 선택을 되돌리기는 점점 어려워집니다.
심적 부담도 점점 커져만 가지요.
3학년 4학년의 심화 전공과목들을 수강하면서, 전공이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면?
이렇게 되면 정말 답이 없어집니다.
전문연구요원을 한다는 것은 자신의 전공분야에 평생을 바칠 각오를 해야 하는 일인데,
그 전공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면 정말 최악으로 치닫게 되는 것입니다.
4학년에 들어서면 이미 되돌리기엔 상당히 먼 길을 걸어온 뒤 입니다.
같은 학년의 선배들은 취업준비에 매진하고 있을 것입니다.
본인은 이 시점에서 보다 좋은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많은 준비를 하겠지요.
현재 재학중인 대학교가 더 볼 것 없이 최고의 대학교라면, 이런 고민은 크지 않을 것이나,
소위 이공계 Top5,6 정도에 들지 못하는 대학교에 재학중이라면 진학의 부담은 매우 클 것입니다.
더 좋은 대학교의 대학원에 진학해야 할 텐데...학점은? 영어성적은? 전공지식은?
타대학출신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던데...괜찮을까?
학부 4학년은 이런 고민으로 대학원이 결정되기 전까지 잠한숨 제대로 이루지 못하며 지낼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무사히 마치고 대학원에 진학을 하게 되면 1차관문은 무사히 통과했다고 볼 수 있겠지요.
그러나, 대학원 연구실이라는 처음 접하는 사회에서 또다시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미 여기서 본인에게 더이상 선택의 여지는 없습니다.
이 시점에서 대학원을 그만두고 군대를 간다는 것은 흔히 말하는, "막장인생"이 되는 것이니까요.
대학원 1년을 마치고 2년째에 접어들면 심적 부담은 극대에 달하게 됩니다.
일찌감치 박사공부를 하리라 결심하고 석사생활을 하면서도 그 결심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라면
아무 걱정이 없겠으나, 석사과정을 마치고 취업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하루하루가 힘겨울 것입니다.
당장 일반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에 비해 선택할 수 있는 회사의 종류도 극도로 제한되며,
선택할 수 있는 회사에 취업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다른 사람에 비해 훨씬 떨어집니다.
이때가 되면 전문연구요원은 더이상 득이 아닌 족쇄가 되어버리며, 자신의 능력에 비해
많이 부족한 회사를 선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차라리 군대를 갔다오고 대학원에 진학했다면..내가 가고싶은 저 회사에 갈 수 있었을텐데'
라는 후회를 해봐야 결론은 없지요.

4,5년 이상의 긴 세월동안 "군대"라는 단어는 가슴 깊이 밖혀 한시도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으며,
시간이 갈 수록 점점 커져가 종국에는 모든 사고가 이 문제에 집중되어 버릴 것입니다.
남자들의 술자리에서 결코 빠지지 않는 군대얘기에 제대로 끼어들 수 없으며, 이러한 것이
사회생활에서 자칫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여지도 있습니다.
군대를 안갔다고 하면 쏟아지는 뭔가 다른 그런 눈빛들도 평생을 감수해야겠지요.

전문연구요원이란 제도. 절대 섵불리 결정을 내리지 말고 신중, 또 신중히 결정하기를 바랍니다.

(위 내용은 저 자신의 경험만을 말하는것은 아니며, 제 생각과는 다른부분들도 많이 있음을 밝힙니다.
 전문연구요원을 이수하는, 혹은 준비하다가 포기한 여러 사람들의 생각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2부부터는 실제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들과 상세한 내용, 정보들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2부에서는 석사를 마치고 전문연구요원 지정 업체에 취업하는 경우에 대해,
3부에서는 박사과정에 진학하는 경우에 대해 다룰까 합니다.



질문은 개인적인 주요 신상정보를 담지 않는다면 비밀글로 하지 말아 주십시오.
댓글의 질문과 그의 답변도 다른분들에게 중요한 정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별로 비밀스럽지 않는 내용을 비밀글로 질문하는 경우 답변을 하지 않겠습니다.